"3+4"라는 문자열을 7이라는 값으로 계산해주는 함수로 알고 계신다고 하셨는데.. 잘못된 지식입니다. eval() 함수는 변수를 javascript의 함수처럼 쓰는 명령어 입니다. 즉. str += "document.test.check"+i+".value"; 위의 뜻은 변수명이 document.test.check1.value 형식으로 들어가는데... 이것을 함수처럼 쓸수는 없다는 뜻입니다. 그냥 저런 문자열이라는 뜻이죠. 결국 str을 alert시키면 document.test.check1.value이 출력되게 됩니다. 그리고 str += eval("document.test.check"+i+".value"); str에 함수이름들이 들어가 있는 겁니다. 그래서 alert를 시키면 value가 1이나 2가 ..